아르누보 Art Nouveau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나타나 많은 사랑을 받은 아르누보. 아르누보는 기존 건축과 공예의 양식이 그리스, 로마, 고딕 양식을 기반으로 한 것과는 다르게 모든 역사적인 양식을 부정하였다. 식물과 자연의 형태에서 모티프를 가져와 새로운 표현을 연구하였다.
덩굴풀이나 담쟁이 등 유연하고 유동적인 선과 다양하고 특이한 장식성을 자랑했다. 유기적이고 움직임이 느껴지는 모티프를 즐겨 사용하였다. 오른쪽 왼쪽, 위아래의 정갈한 반복적인 패턴이나 직선적인 구성을 피하며 곡선의 아름다움을 중요시하였다. 아르누보 양식은 회화뿐 아니라 널리 사용되었다고 하는데, 건축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아르누보를 기반으로 주택을 지어 실내 장식을 한 건축물과 인테리어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아르누보는 프랑스어로 '새로운 미술'을 뜻한다. 고전주의 미술 속에서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예술가들의 갈증은 새로운 화풍으로 발전하였고 인상주의를 시작으로 아르누보에 이르기까지 예술가들은 항상 '새로움'에 대한 갈증과 연구를 지속하였음을 엿볼 수 있다. 아르누보는 기존 형식적인 그림과는 달리 자연물, 꽃, 식물 덩굴에서 영감을 받은 장식적인 요소가 뛰어난 곡선의 이미지가 두드러진다.
아르누보는 회화와 조각의 경계를 무너뜨리는 것을 목표로 시작되었다고 한다. 곡선의 아름다운 이미지로 많은 사람에게 사랑받았을 뿐 아니라 회화, 조각, 디자인, 포스터, 가구, 유리공예, 패브릭, 도자기, 주얼리, 금속공예 등 모든 예술과 국적으로 뻗어나가며 큰 유행을 일으켰다.
대표 예술가들
윌리엄 모리스
아르누보의 작가로는 영국에서 활동한 윌리엄 모리스를 이야기 할 수 있다. 윌리엄 모리스의 작품은 한눈에 보아도 사랑스럽고, 장식성이 뛰어남을 느낄 수 있다. 윌리엄 모리스는 그림을 그리는 것뿐 아니라 공예, 시인, 사상가로도 활동하였다. 전통적인 회화의 느낌보다는 장식성이 뛰어나 태피스트리, 벽지, 직물, 스테인 글라스도 디자인하였다. 산업혁명을 맞이하며 기계가 사람의 손을 대신하는 것을 보며 사람의 손으로 하는 수작업의 중요성에 관해 이야기하기도 하였다. 사랑스러운 작품 외에도 50여 종의 시집과 이야기책을 출판하기도 하였다.
알폰소 무하
아르누보 를 대표하는 작가는 알폰소 무하라고 할 수 있다. 알폰소 무하의 작품은 판화로 제작되어 연극 포스터에 활용되었다. 체코에서 출생한 알폰소 무하는 어린 시절부터 그림 그리기를 즐겨하였다. 어린 시절에는 어머니가 독실한 신자여서 그 영향으로 종교화를 주로 그렸다. 종교화(성화)에 등장하는 신의 모습을 그리며 후기 무하의 작품에 좋은 밑바탕이 되지 않았을까 생각하는 바이다. 그림에 대한 열정으로 도시로 주거 환경을 옮긴 후에는 무대 배경을 그리는 일을 하기도 했다.
이후 알폰스 무하는 파리에서 생활하며 잡지에 실리는 광고에 들어갈 삽화를 그리며 생계를 이어갔다. 잡지를 만들어 내는 인쇄소에서 당시 최고의 연극배우가 출연하는 연극의 포스터를 제작 요청을 받게 되었다. 연극이 다가올 때까지 인쇄소에서의 포스터의 디자인이 승인받지 못하게 되자 잡지에 실리는 삽화를 그리던 알폰소 무하에게 기회가 주어졌고 알폰소 무하의 포스터가 세상에 소개되게 되었다. 아르누보 형식을 담은 곡선의 아름다움과 극적인 아름다운 모습으로 그려진 여성의 이미지가 완성된 것이었다. 알폰소 무하는 아르누보의 섬세하고 아름다움을 최대로 끌어올린 예술가로 평가된다.
알폰소 무하의 작품들은 포스터, 광고와 같이 상업적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많은 양의 이미지를 찍어 내야 하기에 석판화로 제작되었다. 그의 아름다운 화풍은 초기 아르누보에 큰 영향을 주었다. 알폰소 무하의 작품 속 등장하는 인물들은 연극 등장인물들로 여신과 같이 아름답고 황홀하게 표현되었다 그에 더불어 배경에는 우아하고 아름다운 곡선을 뽐내는 식물 이미지가 들어감으로써 현대미술에 많은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간결한 선과 디자인적 느낌이 강한 이 화풍은 일러스트와 애니메이션의 시작으로도 평가되며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안토니오 가우디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은 예술가로는 스페인의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도 있다.
스페인을 방문하면 꼭 가봐야 할 곳으로 꼽히는 구엘 공원, 사그라다 파밀리아 대성당이 가우디의 작품이다. 이외에도 가우디의 건축 작품은 스페인 곳곳에 아주 많다. 가우디의 건축양식은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건축을 공부하며 고딕, 르네상스, 바로크 등 서양 건축물 들과 인도, 이집트, 마야, 잉카 문명 등 고대 건축 양식, 자연물인 식물, 곤충, 동물들의 보금자리까지 다양한 건축 방법을 답습하였다고 한다. 여러 건축 양식에서 모티프를 가져옴에 따라 이전에 존재 하지 않았던 독특한 형식의 양식이 완성된 것이다. 기존의 전통적인 양식을 거부하고 '새로운 예술'을 연구하고 갈망하는 아르누보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나아가 안토니오 가우디는 아르누보의 영향을 받아 완성된 가우디만의 독특한 예술 양식을 완성하였다고 평가된다. 가우디는 설계만 하는 것이 아닌 작은 것 하나하나에도 세심함을 기울이는 건축가였으며 곤충을 비롯한 거대한 자연에서 영감을 받아 건축에 접목하여 건축물의 균형, 통풍들도 매우 효과적이고 과학적으로 설계하였다고 한다.
아르누보는 유럽 전역으로 확산하여 변형되고 확장되었으며 나라마다 불리는 이름이 다르기도 하였다.
미술사이트, 예술, 미술, 미술 포트폴리오
'현대미술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입체파 다시 읽기. 파블로 피카소와 조르주 브라크의 원근법 해체 (0) | 2022.08.25 |
---|---|
야수파 다시읽기. 강렬한 색채, 음악이 들리는 듯한 춤추는 그림. (0) | 2022.08.25 |
후기인상주의미술 다시읽기. 고흐와 고갱 이야기 같이 읽기 (0) | 2022.08.24 |
신인상주의미술 다시 읽기. 조르주 쇠라 와 점묘법 (0) | 2022.08.24 |
고전, 현대, 포스트모던 미술의 차이점 간단하게 총정리! (0) | 2022.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