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대미술 이야기

표현주의란? 키르히너 와 에밀놀데 표현주의 예술가들 함께보기

by 개구리연못 2022. 8. 27.
반응형

 

표현주의 表現主義 Expressionism

 20세기 초 주로 독일 ·오스트리아에서 전개된 예술운동이다. 인상주의, 상징주의, 야수파와 같이 표현주의는 사실주의(자연주의) 경향에 반대하였다. 작가 개인의 내부 생명, 즉 자아(自我) ·혼(魂)의 주관적 표현을 추구하는 ‘감정표출의 예술’에 있다. 예술가 개인의 감정을 표현하며 긍정적인 감정뿐만 아니라 내면의 우울, 공포, 슬픔도 많이 표현하였다. 이 과정에서 형태는 일그러지고 색채는 강조되었다.

 표현주의는 인상주의와 같이 사물을 관찰하고 대상을 표현하는 미술과는 차이점을 가진다. 추상미술에서 작품 속에 등장하는 대상이 해체되고 작가 내부의 감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 표현주의 미술의 대표적인 예시이다. 표현주의는 인상주의 미술에서 더욱 발전된 형태라고 볼 수 있다. 인상주의 미술에서 대상을 관찰하며 예술가의 독자적인 화풍을 연구한 시도는 점차 형태, 색채, 대상이 해체되었으므로 표현주의의 중요한 시작이기도 하다. 점차 색채, 원근법과 형태의 단순화, 역동성, 예술가 개인의 감성과 자아 표현에 치중하며 더욱 자유롭고 원색적인 표현, 전통적인 요소들의 해체들이 두드러진다.

 

 

 


 표현주의 작가들은 자신들의 내적 요소를 표현하였다. 즉각적이고 자발적인 태도가 강하게 두드러진다. 표현주의의 대표적 예술 사조로는 다리파 와 청기사파가 있다. 다리파의 대표적인 작가로는 에른스트 키르히너가 있다. 표현주의 예술가로는 마르크 샤갈, 바실리 칸딘스키, 파울 클레, 에드바르 뭉크, 에곤 실레 가 있다.

 

표현주의 예술가들

키르히너

키르히너
 키르히너는 다리파의 강령을 목판화로 제작하기도 하였다. 
야수파 작가들은 자신들이 야수파라 불리는 것을 마음에 들어 하였지만 많은 표현주의 예술가들은 자신을 표현주의라 불리는 것을 싫어하였다. 
표현주의 미술파 그룹인 다리파(브뤼케파)의 리더로 활동하였다. 키르히너의 작품은 긴장감이 느껴진다. 개성적인 화풍이 매력적이며 강렬한 색채로 관능적인 느낌이 물씬 풍긴다. 관능적인 사랑의 느낌을 의식, 무의식 속에 작품에 담아낸 작가로는 에곤 실레가 있다.
 키르히너는 뒤러의 판화에 영향을 받았다고 평가된다. 노르웨이의 화가 뭉크의 작품에도 영향을 받아 단순한 형태와 밝은 색이 특징으로 보인다. 또한 후기에 들어서며 아프리카와 폴리네시아 미술에 영향을 받아 더욱 간결하고 강렬한 작품을 만들어 낸다.
 키리히너는 예술 공부를 건축으로 시작하였다. 점차 그림에 매력을 느끼며 진정한 미술에 대해 탐구하기 시작하였다. 표현주의를 대표하는 키르히너에게 미술이란 예술가의 내면을 직접적으로 강렬하게 표현하는 매체이자 수단이었다. 이러한 이유에서 키르히너는 고흐와 뭉크의 그림을 자신의 작품 세계에 표준으로 삼았다. 키르히너의 작품에서는 도시의 풍경과 당시 사람들의 유행 패션을 탐색할 수 있다.

에밀 놀데

에밀 놀데
 에밀 놀데는 독일의 표현주의 미술을 대표하는 예술가로 평가된다. 회화뿐만 아니라 판화와 수채화 작품도 다량 제작하였다. 가정환경에서 자연스레 종교적인 그림을 많이 만들기도 하였다. 에밀 놀데가 완성한 작품들은 신비로운 색채와 분위기가 특징이다. 에밀 놀데의 작품 은 작가의 자유로운 상상과 대담한 구성을 담고 있다. 에밀 놀데는 종교적 영혼을 작품으로 표출하였다.

뭉크

에드바르 뭉크
 에드바르 뭉크는 노르웨이 화가이다. 뭉크의 절규는 지금까지도 많은 사랑을 받고 있기도 하다. 초기 작품에서는 인상파의 영향으로 점묘법이 많이 보이기도 한다. 표현주의의 특징인 작가 내면을 표현하는 미술 작품을 만들었는데 주로 우울, 공포, 삶과 죽음의 감정을 담아냈다. 뭉크는 어릴 때 가족의 죽음을 겪으며 평생 우울증을 가졌다. 생명에 깃든 사람들에게서도 항상 죽음이라는 어두운 면을 발견하며 자신이 느끼는 감정들을 작품으로 표출하였다. 삶을 살아가며 느끼는 죽음에 대한 공포감과 외로움, 불안함을 인물화로 담아냈다. 뭉크의 절규에서는 해골과 같은 자기 모습과 함께 절규의 소리가 일렁이는 배경으로 표현되었다. 이는 작가의 감정을 미술로 표현한 표현주의의 특징을 보여준다.

마르크 샤갈

마르크 샤갈

 마르크 샤갈은 러시아 출신의 화가이다. 샤갈은 유대계 집안에서 출생하여 교회와 같은 건물들이 작품에 등장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샤갈의 작품 속에서는 꿈을 꾸는듯한 사랑스러운 색채들을 볼 수 있다. 사랑에 빠진 그의 감정은 초현실적인 이미지로 꿈을 꾸는듯한 작품을 만들어 낸다. 가난하여 힘든 유년 시기를 보내었을지라도 그에게 고향은 언제나 그리움으로 남아있었다. 샤갈은 그리운 자신의 마을을 그림으로 그려내며 자신이 느끼는 사랑, 그리움의 감정들을 미술로 표현하였다.

파울 클레

파울 클레
 파울 클레는 독일 국적의 스위스 화가이다. 클레는 표현주의, 입체주의, 최현실 주의 등 다양한 예술 사조의 영향을 받았다. 클래는 추상미술화가인 칸딘스키와 친구로 건축, 예술 학교인 바우하우스에서 학생들을 가르치기도 하였다. 파울 클레는 회화뿐만 아니라 음악, 과학, 철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도 좋은 활동을 이어갔다. 여러 가지 지식을 담고 있는 지식인으로 그림을 음악적으로, 음악을 그림 적으로 표현하였다. 칸딘스키의 작품은 기하학적이며 추상적으로 형상을 찾아보기 힘들다면 클레는 한 편의 동화같이 귀엽고 사랑스러운 작품을 만들어냈다.

 

 

 

 

표현주의와 다리파 예술가들은 후기에 남태평양과 아프리카 세계에 강한 매력을 느끼며 작품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미술, 예술, 미술 포트폴리오, 온라인 미술관

반응형

댓글